【정홍기칼럼】2_장기요양 급여
장기요양급여는 대인적 지원 서비스와, 사회적 지원 서비스로 분류된다. 대인적 지원 서비스는 걷기, 앉았다 일어서기, 옷갈아 입기, 목욕하기, 화장실 이용하기, 식사하기, 옷 챙겨 입기(갈아입기), 세수, 양치질 및 머리감기, 누웠다가 일어나 방문 밖으로 나오기, 소변 조절하기(실금) 등 일상 생활기능과 관련되는 기초적인 욕구를 해결하는 서비스이다.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집안일하기, 교통수단 이용하기, 물건사기, 전화걸기, 머리빗질, 손발톱 깍기, 화장 또는 면도하기, 식사 준비하기(음식재료를 준비하고, 요리하고, 밥상을 차리는 일), 빨래하기, 걸어서 외출하기(가까운 거리 외출하기), 교통수단 이용하기(원거리 외출하기), 금전 관리하기(용돈, 통장 및 재산관리), 약 복용하기 등 수단적 일상생활 기능과 관련되는 사회적 문제해결과 건강관리 서비스이다.
첨부자료
【정홍기칼럼】첨부자료2_장기요양 급여